IT 자격증/네트워크 관리사

네트워크관리사 필기 오답 및 중요사항 노트

꾸적꾸적 2023. 10. 24. 12:51

OSI 7계층에서 사용되는 기기

1계층 :: 케이블, 리피터, 허브, 모뎀

2계층 :: 랜카드, 브릿지, 스위치

3계층 :: 라우터

4계층 :: 게이트웨이

 

IP의 클래스.

: IP주소의 첫 자리(옥텟)로 클래스를 구분함.

A : 0 ~ 127

B : 128 ~ 191

C : 192 ~ 223

D : 224 ~ 239

E : 240 ~ 255

 

공인 IP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인터넷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IP 주소.

IP 클래스가 공인 ip 대역의 종류임.

 

가상 IP (사설 IP)

일반 가정이나 회사 등 에 할당된 IP주소.

IPv4의 주소부족으로 인해 서브넷팅 된 ip.

사용하기 위해서는 DHCP등을 통해 사용됨.

10.0.0.0 ~ 10.255.255.255

172.16.0.0 ~172.31.255.255

192.168.0.0 ~ 192.168.255.255

 

IP의 클래스.

: IP주소의 첫 자리(옥텟)로 클래스를 구분함.

A : 0 ~ 127, 서브넷 255.0.0.0

B : 128 ~ 191, 서브넷 255.255.0.0

C : 192 ~ 223, 서브넷 255.255.255.0

D : 224 ~ 239

E : 240 ~ 255

 

IP 헤더 :

Version 4bits,

Header length 4bits,

Type-of-service Flags,

Total Packet length 16bits,

Fragment idnetifier 16bits,

Fragmentation Flags 3bits,

Fragmentation Offset 13bits,

Time-to-live 8bits,

Protocol Identifier 8bits,

Header checksum 16bits,

Source IP Address 32bits

Destination IP Address 32bits

 

TCP 헤더 :

Source Port Address 16bits,

Destination Port Address 16bits,

Sequence number 32bits,

ACK number 32bits,

Header Length 4bits,

Reserved 6bits,

Control Flags 6bits,

Window size 16bits,

Checksum 16bits

 

UDP 헤더 :

Source Port Number 16bits,

Destination Port number 16bits,

UDP length 16bits,

UDP checksum 16bits

 

TTL의 역할

: 데이터가 DNS서버 캐시로부터 나오기 전에 현재 남은 시간.

 

체크섬 Checksum의 역할

: IP 헤더의 완전성을 검사함.

 

화상회의 방식 :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CSMA/CD

: 반송파가 감지되지 않으면 데이터 전송함.

 

링형 토플리지의 단점 : 확장성이 낮다.

 

핸드오프 :: 단말기 사이에서 셀 범위 밖으로 이동하여 끊기더라도 연결해주는 방식

 

EFSCER, P7B, PFX, SST 형식을 지원함.

 

<< 프로토콜 종류 >>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 메일 전송 프로토콜 - 7계층

RARP 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IP 주소를 MAC주소로 변경 - 3계층

IC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 3계층

IGMP 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 인터넷 그룹 관리 프로토콜 3계층

SNM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

CMIP Common Management Information Protocol

: 공통 관리 정보 프로토콜

POP3 Post Office Protocol 3

: 메일 다운로드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RIP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 (라우터 개수) 카운팅 기반으로 경로 설정 프로토콜

SMB Server Message Block

: LAN,컴퓨터 간의 통신에서 데이터 송수신 프로토콜

OSPF Open Shortest Path First

: 최단 경로 우선 프로토콜

DHCP ( Dynamic Host Configuartion Protocal )

호스트의 IP주소와 각종 TCP/IP 프로토콜의 기본 설정을 클라이언트에게 자동적으로 제공해주는 프로토콜을 말합니다.

장점 : 수가 많을 때 IP 설정이 자동으로 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IP를 자동으로 할당해주어 충돌을 막을 수 있다.

단점 : DHCP 서버에 의존되기 때문에 서버가 다운되면 IP 할당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

 

<< Windows 명렁어 >>

kill :: 프로세스 종료

nice :: 프로세스 우선순위 변경 명령어

pstree :: 프로세스 트리형태로 보여주는 명령어

top :: 시스템 점유율이 높은 순서대로 보여주는 명령어

ipconfig :: tcp/ip 네트워크 설정값 표시

route :: 출발지에서 목적지 가는 경로

tracert :: 패킷이 라우팅되는 경로의 추적에 사용

netstat :: tcp/ip 연결과 프로토콜의 상태를 확인

 

 

<< Linux 명렁어 >>

lastb :: 비인가자의 로그인 시도 이력을 확인할수있음

cat ..|more :: 한페이지씩 보는 명령어

free : 메모리 사용량과 여유량, 스왑으로 사용되는 메모리가 얼마나 있는지 파악 가능.

du : 디렉터리 사용량 확인

df : 사용 가능한 파일 시스템의 양 확인

nslookup : 도메인 네임, IP 주소 매핑, 특정 DNS 레코드 확인

file : 파일의 종류 확인 및 파일 속성 값 확인

chown : 파일이나 디렉터리 소유권 변경

ipconfig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구성 확인 및 설정

 

<< Linux 경로 >>

/tmp :: 임시 파일 저장되는 디렉터리

/boot :: 시스템 부팅 커널 이미지 디렉터리

/var :: 시스템의 로그 파일과 메일이 저장되는 위치

/usr :: 새로 설치되는 프로그램들이 저장됨

 

<< 데몬 종류 >>

crond :: 리눅스에 등록된 명령어들을 정기적으로 수행 하는 데몬

httpd :: WWW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파치 데몬

named :: DNS 서비스를 사용할 경우 작동유무 제어 데몬

kerneld :: 필요한 커널 모듈을 동적으로 적재해주는 데몬

 

 

VLAN : 내부망 분리, 외부망으로부터 내부망 보호.

 

IEEE 802.11ax :: 와이파이 6

 

IGMP는 인터넷 멀티캐스트를 위해 사용된다.

FTP => TCP

TFTP => UDP

SNMP => UDP 161,162 포트를 사용함. 응용 계층.

DNS => TCP, UDP

 

A class 국가, 대형 네트워크

B class 중대형 네트워크

C class 소형 네트워크

D class - IP멀티캐스트

E class - 실험용

 

Looping 이란?

같은 세그먼트 선 상에 스위치나 브리지가 2대 이상일 경우 발생하는 현상. 브로드캐스트 패킷.

자동을 막아주는 알고리즘 ::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

 

htm -> html -> php 순서로 인식함.

 

802.1 :: 상위 계층 인터페이스, MAC

802.2 :: 논리 링크 제어 LLC

802.3 :: CSMA/CD

802.11 :: CSMA/CA

 

ICMP 메시지 타입번호

0 : 에코 응답

3 : 목적지 도달 불가

5 : 경로 재지정

8 : 에코 요청

11 : 시간 초과

 

INIT 0 :: 즉시종료

INIT 1 :: 복구모드로 재시작

INIT 3 :: 텍스트 모드로 재시작

INIT 5 :: X 윈도우 시스템으로 다시시작

INIT 6 :: 다시시작

 

ARP

: 목적지 IP 주소에 물리적 하드웨어 주소를 매핑

RARP

: 목적지 물리적 하드웨어 주소에 IP 주소를 매핑

Unicast : 일대일 전송

Multicast : 일대다 전송

Broadcast : 모든 PC에 일괄 전송

 

LAN/MAN/WAN 소규모, 대도시, 국가단위 네트워크

 

CSMA (Carrier Sense Multifple Access) - 반송파 감지 다중 접근

:: 지국이 매체를 사용하려 시도하기 이전, 매체를 감지하게 되면 충돌의 기회를 줄일 수 있음.

:: 각 지국이 전송하기 이전, 감지 또는 말하기 이전에 듣기 원칙에 기반을 두고 있음.

=> Listen before Talk(Transmission)

문제점 :: 충돌의 가능성을 줄일수 있지만 없앨수는 없음.

지속방식 종류

1 persistent

:: 회선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다 프레임 전송

non persistent

:: 회선이 busy일 때 랜덤한 시간을 기다렸다 감지.

p persistent

:: 1번처럼 지속적으로 회선 확인하다 idle 순간 확률을 뽑음.

 

CSMA/CD (-with Collision Detection)

:: CSMA방식에 충돌 절차를 더한 것.

유선 이더넷 랜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임.

네트워크 통신 확인 < 캐리어 검사(Carrier Sence)

다른 통신을 하고있다면 정체신호(Jam Signal) 송신

임의 시간 동안 대기하며 재전송 준비

 

문제점 :: 충돌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신호를 전송하는 동시에 신호를 받을 필요가 있음. 하지만 충돌이 없으면 지국은 자신이 보낸 신호만 받음. , 무선통신에서는 신호 받기가 힘듬.

 

CSMA/CA (-with Collsion Avoidance)

:: CD의 문제점인 무선통신에 사용하는 프로토콜

충돌 회피 방법

IFS (Inter Frame Space)방식

Contention Windtow : 다툼구간

 

QoS Quality of Service

:: 트래픽을 생성하는 어플의 필수 동작에 맞게 라우터나 스위치 같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트래픽을 전달할 수 있도록 트래픽을 조작하는 것

 

방화벽 Firewall

:: 1차적인 방법. 데이터를 거부하는 식으로 사용.

 

IPS Intrusion Prevention System

:: 침입방지 시스템. 악의적 활동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이러한 활동이 발생할 경우 보고, 차단, 제거 등의 예방 조치를 취하는 네트워크 보안 도구

 

IDS Intrusion Detection System

:: 침입 여부 감지

 

모뎀

: 정보전달을 위해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고, 수신측에서는 원래의 신호로 복구하기 위해 복조하는 장치.

(1계층)

 

IC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네트워크 내 장치가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문제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

 

윈도우즈 netstat 명령어 옵션

-a : 모든 연결 및 수신 대기 포트 표시

-c : 현재 실행 명령을 매 초마다 실행

-l : listen 포트 확인

-t : tcp로 연결된 포트 확인

-u : udp로 연결된 포트 확인

-n : 주소나 포트 형식을 숫자로 표현

-p : 해당 프로세스 사용하는 프로그램 이름 확인

-r : 라우팅 테이블 확인

 

거리벡터 라우팅 : 최소한의 홉 수를 기반, RIP

링크상태 라우팅 : 비용(최단 거리) 기준, OSPF

 

show running-config or write terminal :: RAM

show startup-config :: NVRAM

show flash :: FLASH

 

IP주소와 해당 컴퓨터 이름 저장경로와 파일명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3 way handshaking

클라이언트 -> 서버 SYN 패킷 전송.

=> 클라이언트 SYN_SENT 상태

서버 -> 클라이언트 SYN+ACK 패킷 전송.

=> 클라이언트 SYN_RECEIVED 상태

클라이언트 -> 서버 ACK 패킷 전송.

=> 서버 ESTABLISHED 상태.

 

Flow Control

: 얼마나 많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가 제어

Error Control

: 에러를 검출하여 정정할것인지 재전송.

 

HomePNA : 통신설비 추가 설치 없이 전화선으로 통신망 구축. 음성, 데이터 분리 동시 사용 가능.

PLC(Power Line Communication) : 기존의 전력선을 기반으로 추가적인 데이터 회선 없이 통신을 지원하는 기술.

ZigBee : 소형, 저전력 디지털 라디오를 통해 개인 통신망을 구성하여 통신하기 위한 표준 기술. 저전력에 넓은 범위의 통신 가능

 

구문 : 데이터 형식, 부호화, 신호 크기를 포함하여 무엇을 전송할 것인가.

의미 : 데이터의 특정 형태 해석을 어떻게 할 것인가.

타이밍 : 언제 데이터를 전송할 것인가, 얼마나 빠르게 보낼 것인가.

 

PCM 펄스부호 변조 3단계

표본화 > 압축 > 양자화 > 부호화

표압양부, 표양부

 

VPN : 가상사설망

NAT : 네트워크 주소 변환 (사설 -> 공인)

PPP : 점대점 프로토콜

PPPoE : 이더넷을 통한 PPP 프로토콜

이더넷 : LAN,MAN,WAN을 사용한 기술 규격

 

윈도우즈서버 2016 이벤트뷰어 윈도우즈 로그

=> 응용프로그램, 보안, Setup, 시스템.

 

RIP 라우팅 정보 프로토콜

: 홉수를 사용한 메트릭스.

: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로 모든 벤더에서 지원

: 간단하며 구현 운영이 편함

: 가장 오래된 거리 벡터(Distance Vector)

: RIPv1은 브로드캐스트, RIPv2는 멀티캐스트

 

게이트워이

: 다른 네트워크 상의 컴퓨터간의 프로토콜을 적절히 변환해주는 변환기.

 

---------------------------------------------------------------------------------------------------------------------------

 

네트워크 필기를 준비하면서 자주 까먹거나 헷갈리는 부분들을 정리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