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가지 프린터 연결 방법
프린터 연결 방식은 몇가지 방법이 존재함.
1. 제조사(ex. HP, Samsung 등)에서 받은 exe 파일로 바로 설치하는 방법
2.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프린터 드라이버 파일(보통 zip으로 제공되고, inf 설정파일을 사용함)로 설치하는 방법
3. 제조사 홈페이지가 아닌 Windows에 깔려있는 자체적인 드라이버로 설치하는 방법
물론, VMware등 가상망(또는 외부망) 에서 연결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단계가 필요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위 세가지 방법을 사용해야함.
각 방법들에는 장단점이 존재함.
1. 제조사(ex. HP, Samsung 등)에서 받은 exe 파일로 바로 설치하는 방법
장점 : 쉽게 설치가 가능하며, 얕고 가벼운 지식으로도 설치하기 용이함
단점 : 가상망(또는 외부망)에서 설치할때, 한번에 전부 설치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함.
=> '프린터가 연결되지 않음' 과 같은 옵션을 선택한 뒤 드라이버 설치만 하고, 2번 단계 진행해야함.
2.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프린터 드라이버 파일(보통 zip으로 제공되고, inf 설정파일을 사용함)로 설치하는 방법
장점 : 대부분 설치 방법이 동일하고, 가장 정석적인 방식
단점 : 1번에 비해서는 조금 더 깊은 지식이 필요함
3. 제조사 홈페이지가 아닌 Windows에 깔려있는 자체적인 드라이버로 설치하는 방법
장점 : 추가 다운로드 등의 방식이 필요 없음
단점 : 제대로 설치되지 않을 가능성이 1, 2번에 비해 높음
1. 제조사(ex. HP, Samsung 등)에서 받은 exe 파일로 바로 설치하는 방법
1. 해당 제조사 페이지에 들어가 설치하고 싶은 프린터 이름을 검색하여 드라이버 설치파일(EXE)을 다운로드
2. 프린터가 연결되어있다면, 해당 IP를 입력 또는 유선 연결로 드라이버 설치
3. 완료 후 테스트페이지 정상출력 확인
단, 2번 과정에서 네트워크 프린터로 정상적인 출력이 되지 않는다면, 2번 방법 진행 필요
2.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프린터 드라이버 파일(압축파일)로 설치하는 방법
1. 해당 제조사 페이지에 들어가 설치하고 싶은 프린터 이름을 검색하여 드라이버 설치파일(압축파일)을 다운로드
2. 해당 파일 압축 풀기 하여 내부에 inf 파일 및 dll 파일 등이 정상적으로 존재하는지 확인
3. 2번이 제대로 확인되었다면, 설정 - 프린터(제어판 - 프린터도 무관)등의 방식으로 설치 시작
4. 연결된 방식으로 프린터 찾기 진행(네트워크로 되어있어 IP주소 또는 호스트 이름으로 프린터 추가로 진행을 가정)
5. 장치 유형 - TCP/IP로 보통 연결하므로 TCP/IP 장치로 바꾼 후 IP 주소 입력.
6. 프린터를 검색하고 사용할 드라이버를 자동으로 선택 체크해제 후 다음
7. 드라이버를 설치한 이력이 없다면 디스크 있음 버튼을 눌러 2번 압축 풀기 폴더 내 inf 파일 선택 후 다음
8. *프린터 공유는 원하는대로. 필자는 사용 안함.
9. 설치완료 및 테스트 페이지 출력하여 확인
*프린터 공유 : 과거 네트워크 프린터가 개발되기 전, LPT 포트를 사용할 때 자주 사용하던 옵션으로,
링 형태로 되어있는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메인 PC만 LPT 포트를 이용해 프린터를 연결하고, 그 외에는 해당 메인 PC에 네트워크로 접속하여 프린터를 사용하던 방식. 현재는 프린터가 발전하여 LPT 포트가 없더라도 LAN으로 연결되어 TCP/IP로 프린터 연결이 가능하므로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방식.
3. 제조사 홈페이지가 아닌 Windows에 깔려있는 자체적인 드라이버로 설치하는 방법
1. 설정 - 프린터(제어판 - 프린터도 무관)등의 방식으로 설치 시작
2. 연결된 방식으로 프린터 찾기 진행(네트워크로 되어있어 IP주소 또는 호스트 이름으로 프린터 추가로 진행을 가정)
3. 장치 유형 - TCP/IP로 보통 연결하므로 TCP/IP 장치로 바꾼 후 IP 주소 입력.
4. 프린터를 검색하고 사용할 드라이버를 자동으로 선택 체크 후 다음
5. *프린터 공유는 원하는대로. 필자는 사용 안함.
6. 설치 완료 및 테스트 페이지 출력하여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