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트림 암호2

[보안] 대칭 키/비대칭 키 정리 대칭키 암호화 방식 암복호화 키가 동일 장점 : 속도가 빠름 단점 : 키를 교환해야함(키 배송 문제), 사람이 많을수록 키 관리가 어려워 짐 블록 암호 : 블록 단위(8비트, 16비트)로 암호화 스트림 암호 : 스트림 단위(비트 단위)로 암호화 비공개키 (대칭키) 암호 DES, 3DES, AES, SEED, ARIA, MASK ㄴ블록암호 DES, 3DES, RC5, AES etc ㄴ스트림암호 OTP, WEP, RC4 etc 비대칭키 암호화 방식 암복호화 키가 다름 키 교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개키(모든 사람이 접근 가능)와 개인키(각 사용자 전용)로 나눔. 장점 : 키 분배 필요X, 기밀성/인증/부인 방지 기능 제공 단점 : 대칭키 방식에 비해 속도가 느림 공개키 (비대칭키) 암호 RSA, Elgam.. 2022. 9. 12.
[보안] RC4 암호화 알고리즘 1 바이트 단위로 받아서 실행한다. (블록처럼 한 블록씩 나누지않고 바이트 단위로 계속 실행한다.) 따라서 속도가 블록 암호에 비해서 빠르다. 통신 보안분야에 많이 사용한다. SSL(Secure Sockets Layer) -> TLS(Transport Layer Security) WEP(Wired Equivalent Privacy) / WPA(WiFi Protected Access)에서 사용한다. 1. 초기화 단계 (KSA) ( 1번 실행함 ) 256바이트의 state vector를 0,1,2,...255로 초기화. => 키배열 K[0],K[1],K[2],...K[255] 생성됨. 이곳에 키가 복사됨. 키의 값이 256바이트보다 짧다면 꽉 찰때 까지 반복적으로 복사. 2. The Pseudo-Random.. 2022. 9.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