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네트워크 지식9

DNS TCP? UDP? DNS는 Well-known 포트를 보면, 53번을 사용하는데특이하게 TCP와 UDP를 전부 사용한다고 되어있다. UDP는 클라이언트/요청하는 개개인들과 통신할때 사용하고,TCP는 서버가 DNS정보가 없을때, 다른 DNS서버와 통신하게 되는데이때는 UDP처럼 정보가 손실되면 안되기 때문에 TCP로 통신한다. 즉, UDP는 DNS서버-클라이언트 관계에서 사용하고,TCP는 DNS서버-DNS서버 관계에서 사용한다. 2025. 5. 14.
POP3, IMAP4 POP3와 IMAP4는 이메일 설정에서 자주 보이는 단어다.정리해보았다. POP3(Post Officel Protocol) POP3는 쉽게 말하면 클라이언트 저장 방식을 의미한다.메일이 오게되면, 해당 단말(클라이언트)에 해당 메일을 저장하고,그 메일을 전송해준 서버에서는 내용을 삭제한다. 예를들면 이러하다.AAA서버BBB AAA에서 서버를 통해 BBB로 메일을 보냈다고 가정해보자.그럼 AAA는 먼저 메일 데이터를 서버로 보낸다.그럼 서버는 AAA가 보낸 데이터를 확인하고,목적지 IP인 BBB로 전송한다. 이후, 서버에서는 해당 데이터를 삭제하고,오롯이 해당 메일의 내용은 BBB만 가지고 있다. 서버에 저장되지 않는 방식을 의미한다. 물론 설정으로 해당 메일을 서버에 카피본을 남겨두는 설정이 존재한다고.. 2025. 4. 23.
DNS, DNS 레코드 DNS(Domain Name Service) DNS란 IP에 대응되는 영어로 된 주소를 의미한다. 사람들은 어딘가에 접속할때, 영어로된 링크를 입력한다.(ex. google.com, naver.com)이때, 이 링크는 정확히는 대응하는 IP로 연결을 시켜주고,그 IP를 가진 서버로 요청을 보내는 방식이다. 사람들은 숫자로된 IP 보다는 영어를 외우는것이 더 편하기 때문.Windows에서는 nslookup으로 도메인네임을 검색하면아이피가 저렇게 나오게 되는데,(물론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온다)원래는 저 아이피, 223.130.200.219 등을 적어야NAVER에 접속할 수 있다. 다만 저렇게 숫자 12자리를 외우는것보다NAVER라는 이름이 외우기 쉬운것처럼,그리고 많은 사이트들의 모든 숫자 12자리를외우는.. 2025. 4. 22.
SNAT, DNAT 저번 NAT에 이어진 글이다. NAT의 개념을 알았다면,더 나아간 SNAT과 DNAT의 개념도 아는 것이 좋다. SNAT(Source NAT) & DNAT(Destination NAT) SNAT은 출발지 주소를 변경하는 NAT, DNAT은 목적지 주소를 변경하는 NAT다 보통 트래픽이 출발하는 시작 시점을 기준으로 구분한다. SNAT은 클라이언트에서 시작하고,DNAT은 서버에서 출발한다고 생각하자. 먼저 SNAT을 생각해보자. SNAT(Source NAT) SNAT은 출발지 주소를 변경하는 NAT라고 했다. 예를들어 이렇게 생각해보자.출발지 AANAT 장비인터넷목적지CC 출발지 AA에서 출발하여 NAT장비를 통해 목적지 CC로 도착한다.출발지 AA에서 목적지 CC로 보낼때목적지 CC는 기본적으로 .. 2025. 4.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