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82 [Proxmox] Root 계정 비활성화 및 새 계정 생성 adduser '원하는 새로운 계정명'=> 이후 패스워드 설정 및 인적사항(휴대폰 번호 등) 설정 후 완료:: Linux 계정 추가. pveum user add '새로운 계정명'@pam:: @pam은 시스템계정 기반 인증 방식인데, Linux 사용자와 연동됨 pveum aclmod / -user torang@pam -role Administrator:: /(데이터센터 위치) 의 user torang@pam에게 Administrator(관리자 역할)을 할당함. 이제부터 로그인은 해당 계정으로 접속 가능. 접속 후 이제 Root 계정 정리 sudo vi /etc/ssh/sshd_config※ 기본적으로 sudo는 지원하지 않으므로 apt update 이후 apt install sudo 로 다운 받아야함.※ .. 2025. 4. 24. POP3, IMAP4 POP3와 IMAP4는 이메일 설정에서 자주 보이는 단어다.정리해보았다. POP3(Post Officel Protocol) POP3는 쉽게 말하면 클라이언트 저장 방식을 의미한다.메일이 오게되면, 해당 단말(클라이언트)에 해당 메일을 저장하고,그 메일을 전송해준 서버에서는 내용을 삭제한다. 예를들면 이러하다.AAA서버BBB AAA에서 서버를 통해 BBB로 메일을 보냈다고 가정해보자.그럼 AAA는 먼저 메일 데이터를 서버로 보낸다.그럼 서버는 AAA가 보낸 데이터를 확인하고,목적지 IP인 BBB로 전송한다. 이후, 서버에서는 해당 데이터를 삭제하고,오롯이 해당 메일의 내용은 BBB만 가지고 있다. 서버에 저장되지 않는 방식을 의미한다. 물론 설정으로 해당 메일을 서버에 카피본을 남겨두는 설정이 존재한다고.. 2025. 4. 23. SSL/TLS 기본적으로 웹페이지(HTTP)에 전송되는 데이터는중간에서 가로채면 누구나 읽을 수 있는 일반 텍스트 형태로 전송되었다. 다만, 이로인해 개인정보 등을 안전하게 전송할 수 없어1995년 Netscape에서 개발된 보안 기술이 SSL 이다. SSL(Secure Sockets Layer) 암호화 기반 인터넷 보안 프로토콜. 전달되는 모든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특정한 유형의 사이버 공격도 차단한다.SSL은 이후 개발된 TLS(Transport Layer Security) 암호화의 전신. 특징으로는 SSL 인증서가 있는 경우, HTTP에서 HTTPS로웹사이트 주소가 변경된다. 그럼 TLS는 뭐가 바뀐걸까? TLS(Transport Layer Security) TLS는 SSL의 개발사였던 Netscape가 더이상 개.. 2025. 4. 23. DNS, DNS 레코드 DNS(Domain Name Service) DNS란 IP에 대응되는 영어로 된 주소를 의미한다. 사람들은 어딘가에 접속할때, 영어로된 링크를 입력한다.(ex. google.com, naver.com)이때, 이 링크는 정확히는 대응하는 IP로 연결을 시켜주고,그 IP를 가진 서버로 요청을 보내는 방식이다. 사람들은 숫자로된 IP 보다는 영어를 외우는것이 더 편하기 때문.Windows에서는 nslookup으로 도메인네임을 검색하면아이피가 저렇게 나오게 되는데,(물론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온다)원래는 저 아이피, 223.130.200.219 등을 적어야NAVER에 접속할 수 있다. 다만 저렇게 숫자 12자리를 외우는것보다NAVER라는 이름이 외우기 쉬운것처럼,그리고 많은 사이트들의 모든 숫자 12자리를외우는.. 2025. 4. 22. 이전 1 2 3 4 5 6 7 8 ··· 21 다음